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 및 월급 실수령액 계산 방법 (2025년 기준)

by liorao 2025. 4. 20.
반응형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 및 월급 실수령액 계산 방법 (2025년 기준)

매달 월급을 받을 때, ‘실제로 내 통장에 들어오는 돈’이 생각보다 적다고 느껴본 적 있으신가요? 그 이유는 바로 4대보험 때문입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된 4대보험은 법적으로 가입이 의무이며, 매달 급여에서 일정 금액이 공제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4대보험 계산기를 활용해 2025년 기준 월급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4대보험이란?

  • 국민연금: 노후 대비를 위한 기본 연금 제도
  • 건강보험: 질병 및 부상 시 의료비 지원
  • 고용보험: 실업 시 실업급여 등 사회적 안전망 제공
  • 산재보험: 업무 중 발생한 재해에 대한 보상

2. 4대보험료는 어떻게 계산될까?

4대보험은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일정 비율을 부담합니다. 근로자 입장에서 부담되는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기준)

보험 종류 근로자 부담률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545%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
고용보험 0.9%
산재보험 전액 사업주 부담

예를 들어, 월급이 300만 원인 경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300만원 × 4.5% = 135,000원
  • 건강보험: 300만원 × 3.545% ≒ 106,350원
  • 장기요양: 106,350원 × 12.81% ≒ 13,622원
  • 고용보험: 300만원 × 0.9% = 27,000원
  • 총 공제액: 약 282,000원
  • 실수령액: 약 2,718,000원

3. 4대보험 계산기 활용 방법

매번 수식을 외워서 계산하기 어렵다면, 온라인 4대보험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대표적인 계산기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2. 국민연금공단 계산기
  3. 건강보험공단 계산기
  4. 워크넷 고용보험 계산기

사이트에 월 급여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보험료 공제액과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특히 프리랜서, 단기 근로자, 계약직 등 다양한 형태의 고용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4. 알아두면 좋은 팁

  • 산재보험은 전액 사업주 부담이므로 근로자 실수령액 계산에서는 제외됩니다.
  • 연말정산 시 일부 보험료는 세액공제 대상이므로 따로 보관하세요.
  • 퇴사 시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며 보험료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5. 마무리

매달 급여에서 빠져나가는 4대보험료는 단순한 공제가 아닌, 미래를 위한 사회적 안전장치입니다. 정확한 계산을 통해 재무 계획을 세우고, 실수령액을 파악해 예산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소개한 4대보험 계산기를 활용해 자신의 급여 구조를 명확히 이해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