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종합부동산세 개편 전·후 비교, 내 세금 얼마나 줄었나?

by liorao 2025. 4. 19.
반응형

2025년, 정부는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와 세부담 완화를 목표로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제도를 전면 개편했습니다. 특히 1주택자를 중심으로 과세 기준과 세율, 공제 혜택이 크게 달라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 기존 제도와, 2025년부터 적용되는 개편안의 내용을 항목별로 비교 정리해 드립니다. 부동산을 보유한 분이라면 반드시 확인하셔야 할 내용입니다.

1. 종부세란?

종합부동산세는 일정 금액 이상의 주택 또는 토지 등 부동산을 보유한 자를 대상으로 과세되는 세금입니다. 국세청이 매년 공시가격 기준으로 세액을 산정하며, 고가 부동산 보유자에 대한 보유세 성격을 가집니다.

2. 종부세 개편 주요 배경

2022~2024년 사이, 다주택자 및 고가주택 보유자에 대한 세금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이어졌고, 1주택 실수요자까지 부담을 느낀다는 여론이 커졌습니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는 세율 조정 및 공제 기준 상향을 골자로 한 개편안이 시행됩니다.

3. 종부세 개편 전·후 비교

항목2024년 이전2025년 개편 이후

1주택자 공제 기준 11억 원 12억 원 (상향)
세율 0.6% ~ 3.0% 0.5% ~ 2.7% (전체적으로 인하)
공동명의 과세 방식 1세대 1주택 공제 불가 공동명의도 1세대 1주택으로 인정
고령자 공제 최대 70% 최대 80%로 확대
납부유예 제도 일부 제한적 운영 고령·저소득자 대상 확대 운영

전체적으로 1주택 실거주자 중심의 세부담 완화가 이루어졌으며, 다주택자의 경우에도 일정 부분 부담이 경감되었습니다.

4. 예시로 보는 세금 차이

서울 강남구 아파트(공시가격 15억 원)를 보유한 1주택자의 경우:

  • 2024년: 과세표준 4억 → 종부세 약 150만 원
  • 2025년: 과세표준 3억 → 종부세 약 100만 원 (약 33% 인하)

세율 자체도 완화되었지만, 공제 기준 상향으로 인한 효과가 더 큽니다.

5. 주의할 점은?

  • 📌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여전히 변동 가능성 존재
  • 📌 다주택자의 경우 지역별 세부담 여전
  • 📌 공제 혜택은 반드시 '세대 기준' 확인 필요

6. 결론: 세부담은 줄었지만 꼼꼼한 확인 필요

2025년 종부세 개편은 분명 많은 1주택자들에게 희소식입니다. 하지만 세금은 개인별 상황, 부동산 형태, 세대 구성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전문가 상담 또는 국세청 모의 계산기를 활용한 사전 점검이 필요합니다.

👉 [국세청 종합부동산세 계산기 바로가기](https://www.hometax.go.kr)

반응형